안녕하세요~ 마이루루입니다.
극심한 저출생으로 출산 장려에 대한 제도적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죠
하루가 멀다하고 뉴스에서는 저출생 극복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도되는데
2024년 육아 및 출산 관련하여 달라지는 제도를 정리해 보았습니다!
예비 엄마 아빠들 주목해주세요~
위 7가지 정책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요
아래에서 하나하나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21년 출산혜택이던 "양육"수당이
22년 "영아"수당
23년부터는 "부모"급여라는 이름으로 바뀌고
금액이 확대된 제도입니다.
24년부터는 부모급여가 월 100만원 (0세) -> 월 50만원(1세) 확대됩니다.
22년 이후 출생하여 영아수당을 받고 있는 아기들은
아직 만 24개월이 지나지 않았다면
별도의 신청 없이 자동으로 부모급여로 변경되어 입금됩니다.
부모급여는 부모 소득 기준 상관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답니다.
부모급여는 매달 25일 현금으로 지급되고 있습니다.
2024년 1월 1일 출생아부터 첫째아이 200만원,
둘째아이부터 300만원의 첫만남 이용권 바우처가 제공됩니다.
쌍둥이는 500만원을 받는다고 해요
첫만남 이용권은 젖병소독기, 유모차, 산후조리원, 병원, 식품구입, 문화생활 등
육아에 필요한 육아용품 뿐만 아니라 생활속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.
기존 난임부부 시술 지원사업에는
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 부부에게만 지원된다는 소득기준이 있었는데요.
2024년부터는 소득기준이 폐지되어
소득 상관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고위험 임산부 의료비와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,
선천성 난청 검사 및 보청기 지원 사업의 소득 기준도 모두 없어진다고 합니다.
남성의 육아휴직 참여를 독려하기 위하여 시행되는 제도인데요
24년 하반기부터는 육아휴직이 1년 6개월으로 연장된다는 소식과 함께 주목받고 있어요.
3+3 육아휴직제 | 6+6 육아휴직제 | |
대상 | 생후 12개월 내의 자녀 | 생후 18개월 내의 자녀 |
기간 및 급여 | 첫 3개월간 통상임금 100% | 첫 6개월간 통상임금의 100% |
상한액 | 월 최대 200~300만원 | 월 최대 200~450만원 |
맞돌봄 문화를 위해 부모가 함께 육아휴직을 3개월 이상 사용하는 경우
최대 1년 6개월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해요.
또한 기존 첫 3개월동안 통상 임금의 100%를 수령하던 것을
부부가 동시 육아휴직 시, 첫 6개월 동안 통상임금의 100%를 수령하게 돼요.
육아휴직 급여가 궁금하신 분들은
아래 육아휴직급여 계산기를 통해 확인해주세용
신생아 특공인데요! 24년 3월 25일부터 시행할 예정입니다.
소득기준과, 주민등록 소재지, 자산평가액 및 자동차 평가액 등 자산 수준, 무주택 여부 등을 꼼꼼히 따져서
위 자격요건을 충족하면 신생아 특공에 신청할 수 있답니다.
이번 특별공급을 통해 만 2세 이하 자녀를 둔 가구를 대상으로 연간 7만호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합니다.
공공분양(뉴홈)을 통해 신청하실 수 있고 나눔형 35%, 선택형 30%, 일반형20%의 비중으로 공급될 예정인데요
신생아 특공이 더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세용
신생아 특례대출 시행에 대해 관심이 많으실 텐데요
대출 신청일 기준으로 2년 내 출산한 무주택 세대주 또는
1주택자 대환대출도 가능하다고 합니다.
금리 최저 1.6%, 대출 한도 최대 5억원으로
부부 합산 연소득 1억 3,000만원 이하 및 순자한 4억 6,900만원 이하일 경우
주택가액 9억원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을 대상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신생아 특례대출이 더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주세용
혼인신고일 전후 2년 이내 또는 자녀 출생 2년 이내
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은 재산 최대 1억원, 기존 증여세 공제(10년간 5천만원)을 합쳐
총 1억 5천만원을 공제하는 제도를 신설합니다.
양가 모두 증여 가능하므로 최대 3억원까지 공제됩니다.
지금까지 2024년부터 바뀌는 육아 및 출산 관련 정책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.
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어
아이를 갖는 것에 부담을 느끼는 신혼부부들이
정책들을 통해 많은 도움을 받았으면 좋겠습니다.
1. 촘촘하고 하고 질 높은 돌봄과 교육
2. 일하는 부모에게 아이와의 시간을
3. 가족친화력 주거서비스
4. 양육비용 부담 경감
5. 건강한 아이 행복한 부모
추가로 정부의 저출산 관련 5대 핵심분야 주요과제를 첨부하며
글 이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
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 ^^
층간소음 처벌기준 / 이웃사이센터 상담 및 신고방법 알아보기 (0) | 2024.01.15 |
---|---|
실업급여 조건 및 신청방법 알아보기 (실업급여 계산기) (0) | 2024.01.11 |
2024년 갑진년(甲辰年) 새해인사 인삿말 모음 (1) | 2024.01.02 |
유알모 알뜰폰 + 제휴카드 조합으로 매달 17,000원 할인 (0) | 2023.03.24 |
네이버 현대카드 혜택 및 네이버페이 적립 후기 (2) | 2023.02.03 |